Skip to content
괜스레 저렇게
Primary Menu
괜스레 저렇게
글 탐색
재미있는 일
연락과 연결
재미있는 일
재미있는 일은 하려고 노력한다.
복도
2025
그래픽 디자이너 스튜디오 복도의 을지로 공간을 리모델링했다.
포에버리즘
2024
〈포에버리즘〉을 번역했다. 과거로 들어찬 현재, 노스탤지어의 이면을 사유하는 재미있는 책.
Odd Concerns
2023
서울 용산구 남영동에 위치한 체험과 실험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번역가와 친구들 벼룩
2024
번역가 4인과 그의 친구들이 참여해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 재건을 위한 기부금을 마련했다.
웬만하면 말로 해
2023
끊임없이 말하며 살아가는 김괜저, 최재원, 호영의 이야기를 녹음하고 있다.
Hoyoung.info
2024
번역하고 글을 쓰는 호영의 홈페이지를 지었다.
가만히 웅크리고 있습니다
2024
퀴어 아티스트 6인의 파자마 파티 퍼포먼스 쇼케이스를 오드컨선에서 열었다.
닥터탁 성형외과
2024
서울 강남에 위치한 닥터탁 성형외과의 개원을 브랜딩과 인테리어 리모델링으로 도왔다.
호영의 집
2023
호영과 고양이 구생이 함께 살고 있는 망원동 집을 꾸몄다.
MAGAZINE B 뉴스레터
2023
MAGAZINE B의 뉴스레터 Spread by B 론치를 위한 기술지원을 제공했다.
자음과 모음 56호
2023
계간 〈자음과 모음〉에 내 목소리에 대한 글을 쓰고 또 그걸 읽는 목소리도 녹음했다.
텀블벅
2016~2022
텀블벅에서 7년간 운영, 브랜딩, 디자인, 개발, 마케팅까지 안 하는 거 빼고 다 했다.
연애와 술
2020
김괜저의 첫 산문집이자 〈말들의 흐름〉 시리즈의 여섯 번째 책 〈연애와 술〉을 썼다.
신당동 OP3
2022
신당동에 위치한 아지트 겸 다양한 모임과 소규모 행사를 위한 공간 OP3를 만들었다.
쑈쑈쑈
2022
홍민키 작가가 기획하고 바다극장에서 열린 〈쑈쑈쑈〉에 공간 스타일링으로 참여했다.
듣똑라
2022
〈듣똑라〉 팟캐스트에서 성공하는 크라우드펀딩에 대해 얘기했다.
초과 10: 더블링
2022
웹진 〈초과〉 10호 특별편에 〈팟럭의 즐거움〉이라는 글을 썼다.
정규환의 개인사정
2022
〈정규환의 개인사정〉 Vol. 5에 〈새해 복 잘 지키세요〉라는 글을 썼다.
동해집
2022
강원도 동해시 구축 아파트를 가족을 위한 편안하고 산뜻한 별장으로 만들었다.
OVERLAP
2021~2022
‘흥미진진하게 공명하는 중첩과 약간의 일렁임을 꿈꾸는’ 글쓰기 모임이자 웹진을 만들었다.
FASHION WORK
2022
〈패션워크: 1993-2018 25년의 패션 예술〉 번역 출간에 감수로 참여했다.
웃소
2015, 2022
누구나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영상을 만드는 〈웃소〉의 로고(2015)와 웹사이트(2022)를 만들었다.
양양 아노락
2021
양양 서피비치·하조대 근처의 구옥 아파트를 일하고 쉬기 좋은 한달살이 숙소로 만들었다.
한림 초록마을
2022
제주도 한림읍에 있는 구축 아파트를 3인 가족을 위한 밝고 편한 집으로 리모델링했다.
메이커시티세운
2022
〈메이커시티세운 브랜드캠프〉에서 〈제조에서 시작되는 브랜드 만들기〉로 발표했다.
디렉토리 매거진
2021
〈디렉토리〉 매거진에 〈이솝 핸드워시가 없는 집인데 한번 보시겠어요〉라는 글을 썼다.
스티비 〈보낸사람〉
2021
스티비의 인터뷰 시리즈 〈보낸사람〉에서 텀블벅 0% 뉴스레터에 관한 인터뷰를 했다.
유감과 혼란들
2020~2022
비영리 및 소셜임팩트 스타트업 영역에서 일하는 사람들 몇몇이 달마다 만나서 유감과 혼란들을 공유하고 있다.
GO OUT
2021
니트 아이템 스타일링 스냅 화보에 일반인 모델이 되어보았다.
저널 〈삼〉
2018
저널 〈삼〉 2호에 〈결혼이라는 나의 문제〉라는 글을 썼다.
VOSTOK
2018
〈보스토크〉 매거진 10호에 〈내 도시 공부법〉이라는 글을 썼다.
시네마시선
2015~2022
영화웹진 〈시네마시선〉 홈페이지를 만들고, 2018년과 2022년 두 차례에 걸쳐 리디자인했다.
Magazine B
2019~2020
〈Magazine B〉의 뉴스레터 〈SPREAD by B〉 및 웹사이트 리뉴얼을 위한 기술지원을 제공했다.
현대문학
2018
월간 〈현대문학〉 767호와 767호에 〈알아서 나온 책들〉과 〈구독한 사랑〉이라는 글을 썼다.
프리랜서 네트워크
2017~2019
단체 〈프리랜서 네트워크〉 설립에 참여하고 아이덴티티와 웹사이트를 제작했다.
친구들의 결혼식
2014~2018
뉴욕, 보스턴, 필라델피아, 서울, 대구에서 친구와 지인들의 결혼식 사진을 찍거나 사회를 봤다.
RE:WORK CONFERENCE
2018
〈리워크 컨퍼런스〉에서 〈일하는 밑천〉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BRSCP
2018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 〈BOREESCOPE (BRSCP)〉의 홈페이지를 만들었다.
디자인학교 <디아개특>
2018
을지로 대림상가 디자인학교 개국을 맞아 기획된 릴레이 특강에서 발표했다.
AROUND 60호
2018
매거진 〈AROUND〉 60호 〈즐겨찾기〉 코너에서 짧은 인터뷰를 했다.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학술대회18
2018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학술대회18 〈YESTODAY〉에서 〈젠더, 창작, 그리고 돈〉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GQ Korea
2017
서울에서 택시 타기에 대한 글을 썼다.
디자인 테이블
2017
디자인을 전공하지 않은 디자이너의 일에 관해 대화를 나눴다.
Naky Hwang
2016
서울과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일러스트레이터 황나키 님의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만들었다.
DUIRO
2015~2016
퀴어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뒤로〉 1호와 2호에 데이터 시각화로 참여했다.
DEAR
2012~2015
〈디어〉 매거진 3, 4호에 촬영, 취재, 웹사이트 구축 등으로 함께했다.
DOMINO
2012~2015
비정기 문화잡지 〈DOMINO〉 3~7호에 산문과 단편소설을 기고했다.
웹투니스타
2017
팟캐스트 〈웹투니스타〉 193화 〈밀어주세요, 당신의 관심사〉 편에 출연했다.
IMF 키즈의 생애
2017
인터뷰집 〈IMF 키즈의 생애〉에 인터뷰어로 참여했다.
BEHANCE PORFOLIO REVIEWS SEOUL
2017
〈디자이너에서 조직 리더로 성장하기〉를 주제로 발표했다.
미스테리아
2016
조나단 레덤 〈머더리스 브루클린〉 책 소개를 썼다.
GRAPHIC 37
2016
〈유리안 스로퍼르: 컴퓨터 시대 이전의 컴퓨터 디자이너〉를 번역했다.
NY30NY
2015
뉴욕에서 재밌는 일을 하는 청년들을 인터뷰하고 그들의 일을 공유하는 프로젝트를 했다.
尋435
2015
〈尋435(Finding 435)〉라는 이름으로 홍콩중문대학교 카페테리아에서 진행된 은밀하고 즐거운 장난에 참여했다.
series
2015
코오롱 시리즈 매거진에서 뉴욕 생활에 대한 인터뷰를 했다.
세 도시 이야기
2014
〈세 도시 이야기〉 단행본에 〈학원과 학원 사이의 학원〉이라는 글을 썼다.
더뮤지컬
2014
〈더뮤지컬〉 129호를 위해 존 캐머런 미첼 사진을 찍었다.
젠틀맨 코리아
2013
〈애국 스타의 유연한 존재감〉이라는 제목의 글을 썼다.
프레시안 books
2013
다니엘 튜더의 〈기적을 이룬 나라 기쁨을 잃어버린 나라〉의 서평을 썼다.
비트윈
2013
커플앱 비트윈 2.0 출시를 위한 애셋 이미지를 촬영했다.
잔여세계
2013
애니멀프레스에서 출간된 그래픽 노블 〈잔여세계〉를 번역했다.
VERTICES
2012~2014
GIS 기술 기반 솔루션을 제작하는 에이전시 VERTICES에서 기획과 운영 일을 했다.
뻐꾸기 중령님
2012
동명의 게이 아마추어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된 라디오 드라마 〈뻐꾸기 중령님〉의 타이틀을 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