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에서처럼 목재나 배관파이프를 쉽게 찾을 수 없어서 아쉽지만 대신 서울은 천이나 의류부자재를 구하기 너무 좋은 곳이다. 오랜만에 (거의 이 년 만인가?) 동대문에 갔다. 옷을 고쳐 입는 데 필요한 몇 가지 리본, 나무단추 등과 더불어 작년 Saint-Ouen 벼룩시장에서 사서 겨울마다 잘 입고 다니는 프랑스 해군 외투 수선에 필요한 닻 달린 대형 단추를 찾으러 갔다. 결론은 30mm가 넘는 단추들 중에 모양이나 재질이 비슷한 것이 없었다. 물론 내가 동대문 단추상을 다 뒤졌다고 할 수는 없지만 나름 헤집고 다녔는데 크기가 맞으면 모양이 영 아니고 모양이 맞으면 너무 작았다. 직경은 45~50mm 정도에, 본래 황동색 칠이 되어 있었던 것 같으나 오래 되어 시커멓게 변한 느낌이고 양각으로 닻 모양이 나온 비타공 단추이니 혹시 구할 곳을 알고 있는 분은 연락 바랍니다. 그 밖에 2012년 일정관리부 만드는 데 쓸 옥스포드를 끊었다. 나는 아직도 한 마만 달라고 할 때 미안해진다. 단추 두 개만 산다고 할 때도 역시 미안해졌다.










명동까지 걸었다. 코코이찌방야에서 카라아게 카레덮밥을 먹고 카페 뎀셀브즈에서 커피 마셨다. 신정구 작가의 소식을 듣고 나서 <안녕, 프란체스카>를 처음부터 다시 본다. 그걸 보면서 멀미하지 않게 오고 싶어서 평소처럼 남산터널 뚫는 버스를 타는 대신에 종각에서 지하철로 내려갔다. 얼마 전에야 본 알모도바르의 Tacones lejanos (High Heels) 전면에 나온 Luz Casal의 Piensa en mi가 좋아 한창 듣던 중이었는데, <안녕, 프란체스카>에도 쓰인 바 있단 사실을 이제야 알았다.
명동에서 종로루트를 타다가 저도 책을 읽으면서 가고 싶을 땐 종각에서 지하철을 타요. 한남대교를 지나고 싶으면 마찬가지로 남산터널을 지나는 버스를 타죠.
종로에서 명동을 타면 명동에서 바로 타고요.
방문 안한 사이에 블로그가 새단장을 했잖아? 괜저 이름도 스리슬쩍 바꿔놓구~ ㅋㅋ아무튼 좋다_ 괜스레저렇게라, 딱딱했던 글씨체보다 좀 귀여워진 느낌이야
더 딱딱한 것도 있었는데 이걸로 했어~
이미 잘 만들어 놓으셨네요 뭘 ^^
그런가요ㅎ
아니면 그냥 직접 만든다던가
인도 시장같다
비공개 댓글입니다.
비공개 댓글입니다.
비공개 댓글입니다.